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정보/미국 및 한국 ETF

나스닥에 투자하는 ETF 종류

by factory$ 2021. 3.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나스닥 시장 기술기업들이 대거 상장되어 있는 주식 거래소인데요. 기술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다 보니 나스닥 거래소의 총 시가총액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죠. 오늘은 나스닥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ETF에 대해 알아봅니다.

 

 

나스닥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ETF 

국내에서 나스닥 시장에 투자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국내 증권시장에 상장된 나스닥 ETF를 매매하는 방법 두 번째로는 미국 시장에서 직접 ETF를 구매하는 직구입니다. 각각 알아볼게요. 

 

국내 상장 vs. 미국 직구 ETF

ETF

티커

총보수

국내 상장

TIGER 미국나스닥100

133690

0.07%

국내 상장

KINDEX 미국나스닥100

367380

0.07%

국내 상장

KBSTAR 미국나스닥100

368590

0.021%

미국 직구

Invesco QQQ Trust

QQQ

0.20%

표에서 보시면 알겠지만, 크게는 국내 상장 ETF를 살 건지 아니면 미국 주식에 직접 투자 할건지 결정해야하는데요. 현재까지 국내 상장 ETF와 미국 직구 ETF를 선택하는 가장 큰 기준은 세금입니다. 그리고 세금은 투자하는 규모/수익률/본인의 주식외 소득수준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됩니다. 간단하게 정리드릴게요. 

 

세금

국내 상장 ETF를 투자하는 경우 배당소득세 15.4%를 부과 받게되고 2000만원 이상의 수익이 나면 금융소득 종합과세라고 해서 다른 소득과 함께 세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최고 소득 구간에서 45%까지 일텐데, 직장인이라면 ~35% 정도까지 고려하셔도 될것 같네요. 투자 수익 규모 그리고 본인의 다른 소득에 의해 세금의 변동이 높습니다. 

 

반면 미국 ETF에 투자하는 경우에는 250만원을 초과한 수익금에 대해 양도소득세율 22%를 적용합니다. 250만원의 수익까지는 세금이 없는 거죠. 그리고 분류과세라고 하여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과세를 메기지 않습니다.

 

분석해보면 직구가 좀 유리한 면이 있는데요. 이건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고 본인의 상황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하셔야 할것 같아요. 예를 들어 연금저축펀드에서 투자하면 얘기가 달라지겠죠. 이전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미국 ETF 거래, 국내 상장 vs 해외 직구 중 어디에서 할까?

 

미국 ETF 거래, 국내 상장 vs 해외 직구 중 어디에서 할까?

안녕하세요. 글로벌 시장, 더 구체적으로는 미국 시장의 ETF를 거래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요. 오늘은 미국 ETF에 투자할때 국내 증권사에서 하는 게 유리한지, 해외 직구를 통해 투자

likefactory.tistory.com

 

국내 증권사에 상장된 나스닥 ETF 거래

국내에서 나스닥 시장을 추종하는 ETF 거래는 3가지로 가능한데요.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만든 Tiger 미국나스닥100,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운영하는 Kindex 미국나스닥100 그리고 KBSTAR 미국나스닥100이 있습니다.  총 보수는 0.07 ~ 0.02까지 입니다.

 

총보수

ETF

티커

총보수

최근 3개월 볼륨(investing.com) 

TIGER 미국나스닥100

133690

0.07%

142,838

KINDEX 미국나스닥100

367380

0.07%

146,734

KBSTAR 미국나스닥100

368590

0.02%

492,580

 

그런데 과거에는 총보수가 이렇게 낮지 않았습니다. 최근 운용사들간 경쟁으로 낮아지고 있는데요. 개인 투자자 입장 ETF투자에 좋은 소식도 이네요.  특히 KBSTAR는 올 2월부터 중 ETF의 총보수를 파격적으로 낮추고 있는데요. 

 

나스닥100 ETF를 0.07%에서 0.021%로 줄였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기존 수익의 30%만 가져가겠다고 한건데요. 나스닥 지수말고도 KB자산운용은 KBSTAR 200의 총보수를 기존 연 0.045%에서 연 0.017%, KBSTAR 200 TR은 연 0.045%에서 연 0.012% 인하했습니다. 

 

그런데 주의할 점도 있긴 합니다. 총보수가 무조건 낮다고 다 좋은건 아닙니다. ETF도 상장된 주식이기에 거래할때 유동성이 중요한데요. 거래대금이 낮은 ETF의 경우 유동성이 낮아서 원하는 가격에 매도하거나 매수하지 못하는 상황이 일부 발생하기도 해요. ~1% 수준까지 가격 변동이 있을수 있는거죠. 1%의 수익이 낮아질 수 있는 거에요. 총보수와 거래대금을 균형있게 고려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증권사 거래 수수료 

ETF 거래는 개별 주식거래와는 달리 비용 관리가 중요한데요. 성장을 통한 수익도 있지만 비용을 잘 관리해서 장기 투자에서 이익을 극대화 하는거죠. 그렇다면 ETF거래하는 증권사의 수수료 중요하죠. 거래 횟수가 많지 않다면 큰 차이는 없겠지만 비용은 고려하는게 좋을것 같아 증권사별 ETF 거래 수수료율을 알려드려요. 모바일 채널로 거래할 때 기준입니다. 

증권사 수수료
미래에셋 0.014%
한국투자증권 0.0146527%
삼성증권 1천만 원 미만, 0.147216%+1,500원 / 50만 원 미만 0.497216%
키움증권 0.015%

 

참고: 나스닥이란

Nasdaq Logo
Nasdaq Logo

나스닥 (NASDAQ, Nasdaq Stock Market)은 원래 미국의 주식거래 시장 중 하나입니다. 나스닥에는 기술주식들이 많이 상장되어 있는데요.  상위 종목으로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닷컴, 알파벳 C, 페이스북, 인텔, 넷플릭스 등이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거래소 규모가 2위인데요. 1위 미국 NYSE, 2위 미국 나스닥, 3위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 4위 일본 일본거래소, 5위 홍콩 홍콩증권거래소 순입니다.  한국은 13위라고 하네요.

 

 

맺음말

오늘은 미국 나스닥 시장을 추종하는 ETF에는 어떤 상품들이 있는지, 그리고 한국에 상장된 상품과 미국에 직접 거래하는 방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한국 시장에 상장된 나스닥 관련 ETF 및 고려사항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나스닥 시가총액 높은 회사는?

 

미국 주식 투자, 세금은?

 

최근 인기 많은 미국 반도체 ETF

 

- 본 글은 투자를 권유하기 위해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투자 관련 최종 정보는 본인의 직접 확인이 필요하며 투자 의사결정 및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을을 알려드립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