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말정산에서 미처 못받은 연금저축 세액공제 받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금저축 납입 후에 놓치기 쉬운 세금 관련 팁에 관해 알려드립니다. 특히 연간 세액공제 한도금액을 초과 납입했을때 초과 납입한 금액에 대해 세액 공제받기 위한 방법입니다. ◐ 연금저축의 기본적인 연간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는 최대 400만 원입니다. 소득에 따라 세액 공제 한도와 공제 세율에는 차이가 좀 있습니다. 매년 연말정산을 통해 한 해 동안 입금한 금액에 세율을 곱해 세금 혜택을 받죠. 최고 66만 원 까지요. 그리고 연금저축은 꼭 이 공제한도만 입금하는 게 아니라 1800만 원까지 입금할 수 있어요. 근로소득 공제 한도 공제세율 5500만 원 이하 400만 원 16.5% 5500 ~ 1억 2천만 원 이하 400만 원 13.2% 1억 2천만 원 초과 300만 원.. 2021. 3. 18. 연금저축 수령시 세금 폭탄 피하려면 꼭 알아야 할 것들 안녕하세요. 오랫동안 모아 온 연금저축, 은퇴 후 수령 단계를 생각하면 행복해지는데요. 연금저축 수령 시 수령액 또는 수령 기간을 잘 못 설정하면 불필요한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고 해요. 연금저축 수령 시 세금을 줄이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연금 수령 금액 한도, 수령 기간, 수령 나이에 대해 알아볼게요. ▶ 연간 연금 수령 금액 개인 연금저축 및 IRP 수령 금액은 연 1200만 원 이하로 고려해요. 연금 수령 기간에 다른 소득이 있다면 함께 과세되어 세율이 매우 올라갈 수 있습니다. 본인의 소득이 별도로 있다면 개인연금저축 및 IRP를 통해 받는 금액을 연간 1200만 원으로 조정하여 수령하는 게 세금상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이유에 대해 알아보죠. 개인연금과 개인 IRP를 통해 추가로 .. 2021. 3. 16. 사회초년생 자산관리 기초 - 연금저축 안정된 은퇴는 누가나 원하는 삶인데요.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연금을 고려할 수 있죠. 오늘은 연금 저축의 장점, 연금 저축의 종류, 연금저축 가입 채널, 연금저축의 단점에 대해 알아볼게요. 연금저축의 장점 세액공제로 확정된 수익 가능 직장인의 월급 통장을 유리 지갑이고, 법이 정한 범위에서 절세할 수밖에 없어요. 직장인들의 월급은 투명하게 드러나고, 근로소득에 대한 세금은 누락됨이 없이 법이 정한 데로 떼어져 나가는데요. 원천징수라고 하죠. 월급에서 나가는 세금을 한 푼이라도 아끼고 싶으면 연금저축을 고려할 수 있어요. 연금저축 상품에 가입하게 되면 할 수 있는 만큼 세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전문용어로 확정형 수익이라고 합니다. 근로소득자의 경우 소득구간별로 세액공제를 해주는 금액과 공.. 2021. 3. 1. 이전 1 다음 반응형